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임상심리학과 상담 심리학의 비교

반응형

 

 

 

 

여러 심리학을 알아보며 겹치는 부분도 있고 비슷하면서도 다른 부분 심리학 종류들이 많아 이번에는 비교하며 정확하게 어떤 부분이 공통적이고 어떤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는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 임상 심리학의 정의


임상 심리학(臨床心理學, clinical psychology) 은 인간의 정신적 장애 또는 심리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를 평가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과 적응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적인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임상심리학의 상담자는 과학적으로 개발된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사용하여 전문적인 치료, 조언을 해주는 역할을 하고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등 부적응을 한 인간들을 위주로 그들의 장애를 상담, 조언을 통해 치료하며 그 자료들을 토대로 다양한 내담자들에게 응용시키고 있습니다.
임상심리학이 발전하게 된 계기는 1896년 라이트너 위트머가 세계 최초의 심리 진료서를 펜실베니아 대학에 설립하면서 임상심리학의 기초를 다지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의 임상심리학은 미군의 임상심리학자인 존스 홉킨스에 의해 소개되었고 1962년에 전일제 임상심리학자가 정신병원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임상심리학의 접근방법은 인지 행동적 접근, 실존주의적 접근, 정신분석적 접근 세 가지로 이루어지며 정신장애나 고통을 가지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고 싶어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치료하는 분야이며 인간에 기본적인 전제를 바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인지 행동적 접근은 인간의 내적에서 일어나는 보이지 않는 심리를 밖으로 표출하는 행동의 모습을 관찰하며 과학적인 연구를 하고 실존주의적 접근은 인간의 존재 모습 그대로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이론이며 이런 실존주의 이론은 인본주의적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신분석적 접근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이 많은 영향을 미쳤고 이 이론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인간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많은 학문과 분야에 큰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인간의 정신은 원초아, 자아, 초자아 세 부분으로 나눠지며 성장 되는데 이 부분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정신활동과 연관이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관련된 직업군은 임상심리학자, 재활심리학자. 정신과 의사, 상담심리학자 등이 있습니다.

 

 

☆ 상담심리학의 정의


상담심리학(counseling psychology , 相談心理學)은 정상 범주 안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더 나은 정신건강 증진, 상담원의 양성 및 상담의 본질 규명 등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인간과 인간의 의사소통은 인간이 갖고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며 같은 동등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매우 접근성이 좋다는 전제하에 상담이 진행됩니다.
하지만 치료와 진단을 목적으로 개입하기도 하며 상담자와 상담 대상과 공동의 목표를 갖고 개인 상담 및 집단 상담을 하기도 합니다.
상담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내담자의 평가와 심리검사를 실시하며 필요에 따라서 장기로 상담을 진행하기도 하며
학문적으로는 임상심리학의 정신 분석접근과 같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치료와 아들러의 개인 심리치료,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심리치료, 앨리스의 합리적 정서 치료, 인지행동치료, 펄스의 게슈탈트 치료, 현실치료, 의사 교류 분석, 해결 중심 단기 치료, 가족치료 등 기존이론에 대한 반발과 기존이론에 대한 보완, 여러 새로운 이론들을 거치며 발달하고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의 마음이 어떤 식으로 움직이고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방법이고, 아들러의 개인 심리이론은 프로이트의 원초아,자아,초아를 구분한 것에 반대하며 인간을 나누거나 구분하지 않고 그 자체로서 보아야 한다는 이론이며,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적 이론은 인간은 자기실현의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며 스스로 해결한 능력과 책임이 충분히 있다는 이론입니다.

실제로 상담을 진행할 때 단독적인 하나의 이론 보다는 여러 이론을 혼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잘못된 생각들을 수정하고 조언하며 변화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행동치료 기법을 병행할 수도 있으며 내담자와의 상담을 통한 판단하에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기법으로 존중 및 경청을 주로 하는 상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임상 심리학자인 앨리스의 합리적 정서 치료는 인간은 객관적인 사실에 대한 자신의 관점으로 혼란스러워하며 이를 수정하는 것을 상담, 조언 해주는 치료를 알렸고, 마지막으로 펄스의 게슈탈트 치료는 사람의 구성은 새로운 변화와 성장이 가능하며 사람의 심리를 여러 가지로 나눠 보는 게 아니라 하나의 종합적인 형태로 이해하여 내담자가 정신적, 육체적으로 자유로워지려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임상심리학과 상담심리학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도 해봤는데 두 분야의 차이점은 정상 범주의 내담자들을 상담을 진행하는 쪽은 상담심리학이며 임상심리학은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고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주로 진행하는 상담이라고 한다고 하지만 명확하게 구분이 지어지지 않을 때도 있고 두 분야 다 더 나은 삶과 심리를 위해 치료한다는 것은 공통적인 목표라고 합니다.

 

 


아직 모든 심리학 종류는 모르지만 여태 알아본 심리학 종류들을 보면 심리학을 연구하는 공통의 목적은 모든 인간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분야인 것 같아 배우면서도 내가 안정되며 치료를 받는듯한 기분이 듭니다.

기분 탓이겠지? 

 

 

 

출처'참고' 

doopedia(두산백과),형설출판사

반응형